[Ubuntu] 아파치 + 톰캣 연동된 상태에서 OpenSSL 적용 아파치와 톰캣이 연동된 상태에서 OpenSSL을 적용할 것이다. 아파치 설치 및 톰캣 연동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 관련글 [Ubuntu] 아파치(Apache) 설치 및 톰캣(Tomcat8) 연동우분투 환경에서 Maven으로 프로젝트 배포하기[Ubuntu] 우분투 서버에서 파일 업로드 시 권한문제 해결 OpenSSL 설치 및 인증서 생성 OpenSSL 설치 및 인증서 생성에 관한 부분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 OpenSSL 설치 및 인증서 생성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 ■ 관련글[Ubuntu] 아파치(Apache) OpenSSL 적용 OpenSSL 적용 1. SSL 디렉토리 생성 및 인증서 복사 관리의 편의를 위해 ssl 인증서를 모아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mgt@localserver:..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7년 전
[Ubuntu] 아파치(Apache) 설치 및 톰캣(Tomcat8) 연동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하는 이유는? 톰캣은 WAS이지만 Web 서버의 기능도 갖고 있다. 그러나 톰캣의 Web 서버 기능은 아파치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정적인 페이지는 아파치가 처리하고, 동적인 페이지는 톰캣이 처리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므로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우분투 서버에 아파치(Apache) 설치하기 설치 전 패키지 업데이트를 먼저 한다. 그리고 아파치를 설치한다. [mgt@localserver: ~$] sudo apt-get update[mgt@localserver: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아파치 설치는 정말 간단하다. 설치가 되었으면 확인을 해보자. [mgt@localserver: ~$] apache2 -vServer version: Apache..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우분투 서버에서 파일 업로드 시 권한문제 해결 우분투 서버에서 파일 업로드 시 권한 문제 해결하기 우분투 서버에 배포된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파일 업로드를 할 때 java.io.FileNotFoundException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에러 메시지의 맨 끝을 보면 permission denied 라고 되어있는데, 권한 문제로 인해 폴더에 접근이 거부된 것이다. 이럴 경우 업로드 폴더의 소유권과 권한을 변경하여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 톰캣 계정 추가[mgt@localserver: ~$] sudo useradd tomcat # 톰캣 폴더(tomcat8)의 소유권을 tomcat으로 [mgt@localserver: ~$] sudo chown -R tomcat:tomcat /usr/share/tomcat8 먼저 명령어를 실행하여 톰캣 ..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우분투 서버(16.04)에 MySQL(5.7) 설치 우분투 서버에 자바와 톰캣 설치 이후 이번에는 MySQL을 설치할 것이다. ■ 우분투 서버 자바, 톰캣 설치우분투 서버(16.04)에 자바 설치우분투 서버(16.04)에 톰캣 설치 1. MySQL 설치 먼저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 가능한 MySQL 버전을 확인한다. 여기에서는 5.7 버전을 설치할 것이다. # MySQL 버전을 확인 sudo apt-cache search mysql-server 다음으로 MySQL 설치 명령어를 실행한다. # MySQL 5.7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5.7 설치 진행 도중 MySQL의 root(최상위 계정)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부분이 나온다. 적당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다음은 비밀번호 확인이다. 방금 전 입..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우분투 서버(16.04)에 톰캣 설치 우분투 서버에 톰캣 설치하기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톰캣(WAS)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tomcat8을 설치한다.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에 tomcat8을 설치한다. # 톰캣8 설치 sudo apt-get install tomcat8 다음으로 설치된 톰캣의 버전을 확인해 보자. # 톰캣 버전 sudo /usr/share/tomcat8/bin/version.sh 이제 톰캣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 테스트해볼 것이다. 그전에 방화벽에서 톰캣의 포트를 외부 접속이 되도록 변경해야 한다. 톰캣의 기본 포트는 8080으로 만약 포트를 변경했다면, 변경한 포트를 입력하면 된다. # 방화벽에서 톰캣 포트 외부접속 sudo ufw allow (톰캣 포트번호)/tcp 다음으로 톰캣을 실행시킨다. # 톰캣 ..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우분투 서버(16.04)에 자바 설치 우분투를 서버에 자바를 설치해 보자. 여기에서는 openjdk-8을 설치할 것이다. 우분투 서버에 자바 설치 JDK와 JRE 설치 명령어를 실행한다. # JRE, JDK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re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JDK 설치 시 계속 진행할 것인지 묻는데 Y를 입력하면 된다. 만약 OpenJDK가 아니라 Oracle JDK를 설치해야 한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1. PPA를 추가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 2. apt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sudo apt-get update # 3. Java8 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Putty를 이용한 우분투 서버 SSH 접속하기 Putty를 이용한 우분투 서버 SSH 접속하기 VM웨어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설정을 끝마쳤다면, VM웨어 외부에서 우분투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할 것이다. 환경 설정을 하기 전 되도록이면 아래의 링크를 보고 똑같이 우분투 서버 환경을 설정해두는 것이 좋다. (우분투 서버에 OpenSSH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 VM웨어 우분투 설치VM웨어에 우분투 서버(16.04.3 LTS) 설치하기 ■ 우분투 서버 설정우분투 서버 설정하기 ■ 우분투 서버 고정 IP설정VM웨어에 설치된 우분투 서버 고정IP 설정하기 1. 포트번호 추가하기 VM웨어의 설치 경로로 이동하여 vmnetcfg.exe 파일을 실행시킨다. ※ vmnetcfg.exe 파일에 대한 것은 여기에 나와있다. VM웨어의 기본 설치경로 ..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VM웨어에 설치된 우분투 서버 고정IP 설정하기 VM웨어에 설치된 우분투 서버 고정 IP 설정하기 VM웨어에 설치된 우분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 IP로 IP를 변경해야 한다. 그전에 VM웨어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로컬에서만 사용할 것이므로 네트워크 설정을 NAT으로 변경하여 진행할 것이다. VM웨어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것은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 1~2단계 부분을 따라 하면 된다. ( ※ VM ware player 12를 설치하였다면 vmnetcfg.exe 파일이 있어야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하다. 아래 링크된 글을 보면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있다. ) ■ VM웨어에서 네트워크 설정VMware에 설치된 오라클에 접속하기 VM웨어를 실행시켜 우분투 서버를 설치한 가상머신을 선택한다. 그리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S..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우분투 서버 설정하기 VM웨어에 우분투를 설치했으면 다음으로 기본적인 설정들을 해야 한다. ■ 우분투 설치 [Ubuntu] VM웨어에 우분투 서버(16.04.3 LTS) 설치하기 root 계정 활성화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면 root 계정이 생성된다. root는 관리자 계정이라고 보면 되는데, 설치 후 root 계정으로 접속하려고 하면 비밀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접속할 수 없다. 그렇기에 비밀번호를 설정해서 root 계정을 활성화하자. 1 sudo passwd root 우분투에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root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동일한 비밀번호를 한번 더 입력한다.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나면 성공적으로 변경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12345#루트접속sudo - root #..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
[Ubuntu] VM웨어에 우분투 서버(16.04.3 LTS) 설치하기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기 전 VM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VM웨어 설치에 관한 글은 아래 관련글을 참고하면 된다. ■ 관련글VMware Player 12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 ■ 우분투 홈페이지 : https://www.ubuntu.com/ 먼저 우분투 홈페이지로 들어간다.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Server 메뉴를 클릭한다. 다음으로 Download Ubuntu Server 를 클릭한다. 여기서는 16.04.3 LTS 버전을 다운로드할 것이다. 해당 버전은 64bit로 만 제공되며 32bit를 사용하기 위해 구버전 우분투를 다운로드해야 한다. VM웨어에 우분투 서버(16.04.3 LTS) 설치 우분투 서버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였으면 VM 웨어를 실행한다. VM 웨어에서 오른쪽의 Cr.. 운영체제, 서버/리눅스 8년 전